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불멸의 해전, 세계 해군 역사상 최고의 무장 충무공 "이순신" 기본 정보이름 이순신 (李舜臣)생몰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국적 조선직업 수군 제독, 무신한 줄 요약 13척의 배로 133척의 왜선을 물리치며 조선을 구한 불세출의 명장운명을 바꾼 어머니의 교육철학"신에게는 아직도 전선 12척이 있사옵니다."절망적인 상황에서도 굴복하지 않는 강인한 정신력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요? 그 답은 이순신의 어머니 초계 변씨에게서 찾을 수 있습니다. 1545년 서울 건천동에서 태어난 이순신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수군 제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어머니의 특별한 교육철학이 있었습니다.변씨는 맹자의 어머니처럼 자식의 교육을 위해 세 번의 이주를 감행했습니다. 서울에서는 무과생을 위한 훈련원과 가까운 곳에 거주하며 문무를 겸비한 교육을 시켰고, 가세가 .. 2025. 8. 15.
조선 최초 한글소설 『홍길동전』을 쓴 시대의 반역자, "허균" 기본 정보이름:허균(許筠)생몰:1569년 ~ 1618년국적:조선직업:문인, 소설가, 관료, 사상가한 줄 요약:조선 최초의 한글소설 『홍길동전』을 창작하며 신분제 사회에 도전한 혁신적 지식인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자유로운 영혼1569년 강릉의 명문 양반가에서 태어난 허균은 어린 시절부터 남다른 기질을 보였습니다. 아버지 허엽은 문과 급제 후 대제학까지 오른 당대의 석학이었고, 누나 허난설헌은 조선 최고의 여류 문인으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하지만 허균은 집안의 엄격한 유교적 전통 속에서도 자유분방한 성격을 드러냈습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책보다는 시장 구경을 좋아했고, 신분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리며 세상 이야기를 듣는 것을 즐겼습니다. 이런 경험들은 훗날 그가 서민들의 삶과 애환을 깊이 이해하고.. 2025. 8. 14.
조선 최초 한문소설을 창조한 영원한 방외인, "김시습" 기본 정보이름: 김시습 (金時習)생몰: 1435년 ~ 1493년국적: 조선직업: 문인, 승려, 사상가한 줄 요약: 『금오신화』를 통해 조선 최초의 한문소설을 창조하고, 평생을 떠돌며 자유로운 정신을 추구한 방외인 문학자천재소년에서 절망한 청년으로1435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시습은 어려서부터 비범한 재능을 보인 신동이었습니다. 세 살에 글을 깨우치고 다섯 살에 시를 지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로, 그는 타고난 문학적 천재였죠. 세종대왕이 직접 그의 재능을 확인하고 "이 아이는 반드시 나라의 동량이 될 것이다"라며 극찬했다는 일화는 당시 그의 명성이 얼마나 대단했는지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런 찬란한 미래에 대한 기대는 1455년 단종의 폐위와 함께 산산조각이 나고 맙니다. 스무 살의 김시습에게 계유정난은.. 2025. 8. 13.
"장영실" - 신분의 벽을 넘어 조선 과학기술의 새 지평을 연 천재 장인 기본 정보이름: 장영실 (蒋英實)생몰: 1390년경 ~ 1450년경국적: 조선직업: 과학기술자, 발명가, 관리한 줄 요약: 물시계와 해시계를 완성하여 조선의 시간 체계를 확립하고, 신분제 사회에서 실력만으로 최고 관직에 오른 조선 최고의 과학기술자노예의 아들에서 시작된 불굴의 의지1390년경 동래현(현재의 부산)에서 태어난 장영실의 출생은 그 자체로 하나의 역설이었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관청의 기생이었고, 아버지는 중국 사신 일행의 통역관이었지만, 당시 신분제 사회에서 그는 어머니의 신분을 따라 천민으로 분류되었습니다. 하지만 어린 장영실은 주변의 모든 기계와 도구에 호기심을 보였습니다. 관청에서 사용하는 각종 기구들을 유심히 관찰하고, 부서진 것들을 스스로 고치려 시도했습니다. 이런 그의 모습을 지켜본.. 2025. 8. 12.
백성을 위한 글자를 만든 성군, "세종대왕"의 한글(훈민정음) 창제 여정 기본 정보이름: 이도(李祹), 세종대왕생몰: 1397년 5월 15일 ~ 1450년 3월 30일국적: 조선직업: 조선 제4대 국왕, 성군한 줄 요약: 한글을 창제하여 백성들에게 문자 생활의 길을 열어준, 조선 최고의 성군이자 문화 군주왕의 길을 걷기 시작한 셋째 왕자1397년 조선 태조 이성계의 손자로 태어난 이도는 태종의 셋째 아들이었습니다. 원래라면 왕위와는 거리가 먼 위치였지만, 그의 뛰어난 학문적 재능과 인품은 아버지 태종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책을 손에서 놓지 않던 그는 경서와 사서를 탐독하며 백성을 다스리는 왕도 정치에 대한 깊은 사색에 잠겼습니다. 스무 살이 되던 해, 형들을 제치고 세자로 책봉된 그는 이미 "백성이 곧 하늘이다"라는 민본주의 사상을 마음 깊이 품고 있었습니다.. 2025. 8. 11.
조선왕조 500년 설계도를 그린 혁명가, "정도전" 기본 정보이름: 정도전(鄭道傳)생몰: 1342년 ~ 1398년국적: 고려 후기 → 조선 전기직업: 성리학자, 정치가, 조선 건국 설계자한 줄 요약: 성리학 이념으로 새로운 왕조를 설계하고 조선 500년 통치 체제의 기틀을 마련한 혁명적 사상가불의에 맞선 젊은 선비의 각성1342년 영주에서 태어난 정도전은 어려서부터 남다른 기개를 보인 아이였습니다. 고려 말 문벌 귀족 사회의 부패를 목격하며 자란 그는, 스무 살 무렵 성균관에서 공민왕 개혁 정치의 핵심 인물인 이색을 만나게 됩니다. 이색으로부터 성리학을 배우며 정도전은 단순한 학문이 아닌, 현실을 변혁할 수 있는 사상의 힘을 깨달았습니다. 그에게 성리학은 썩어가는 고려 사회를 구원할 새로운 희망이었습니다. "도가 있으면 나아가고, 도가 없으면 물러난다"는.. 2025.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