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8 목민심서로 조선의 개혁을 꿈꾼 실학의 거장, "정약용" 기본 정보이름: 정약용 (丁若鏞)생몰: 1762년 6월 16일 ~ 1836년 2월 22일국적: 조선직업: 실학자, 문신, 사상가, 시인한 줄 요약: 500여 권의 저서로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하고 백성을 위한 개혁을 추구한 조선 최고의 지성경세치용의 씨앗이 움튼 남인 명문가1762년 경기도 광주 마현리, 남인 명문가의 넷째 아들로 태어난 정약용은 어려서부터 남다른 재능을 보였습니다. 할아버지 정재원은 영조 때의 명신이었고, 아버지 정재원은 진주목사를 지낸 학자 관료였죠. 이런 가문의 학문적 분위기 속에서 자란 그는 일곱 살에 이미 천자문을 뗐고, 열 살에는 시를 지을 정도로 조숙했습니다. 하지만 그를 진정한 학자로 이끈 것은 단순한 암송이 아니라, 세상의 모든 현상에 대한 끝없는 의문이었습니다. "왜 .. 2025. 8. 21. 임진왜란의 참혹함을 기록한 조선의 예언자,징비록 집필자 "유성룡" 기본 정보이름: 유성룡(柳成龍)생몰: 1542년 ~ 1607년국적: 조선직업: 문신, 정치가, 학자한 줄 요약: 임진왜란을 예언하고 대비책을 마련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조선의 현실주의자이자, 『징비록』을 통해 전쟁의 참상과 교훈을 후세에 남긴 역사가안동 선비 가문에서 태어난 우국지사1542년 경상도 안동의 유서 깊은 선비 가문에서 태어난 유성룡은 어려서부터 남다른 통찰력을 보였습니다. 그의 호 '서애(西厓)'처럼 서쪽 벼랑 끝에 선 듯한 위기의식이 그의 삶을 관통했습니다.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우며 학문적 기초를 다졌지만, 그는 단순히 책상 위의 학문에만 머물지 않았습니다. 젊은 시절부터 조선을 둘러싼 국제 정세의 변화를 예리하게 관찰했고, 특히 일본의 움직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품고 있었.. 2025. 8. 20. 조선의학 완성한 신분 초월의 명의, "허준"과 "동의보감" 기본 정보이름: 허준(許浚)생몰: 1539년 ~ 1615년 10월 9일국적: 조선직업: 의관, 의학자한 줄 요약: 『동의보감』으로 조선 의학의 독창적 체계를 확립하고 신분제의 벽을 뛰어넘은 불굴의 명의서자라는 굴레 속에서 피어난 의학의 꿈1539년 경기도 양천현에서 태어난 허준의 첫 번째 시련은 그의 출생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무관 가문 출신인 아버지 허론과 양반 가문 영광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지만, 어머니가 정실이 아닌 첩이었기에 그는 서자의 신분을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조선 사회에서 서자는 비록 양반의 혈통이지만 관직 진출에 엄격한 제약을 받는 중간 계층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신분적 한계가 오히려 허준을 의학의 길로 이끌었습니다. 문무관보다 천하다고 여겨지던 의관이야말로 서자가 진출할 수 있는.. 2025. 8. 19. 구도장원공에서 개혁정치론자까지, 성리학자 "율곡 이이" 기본 정보이름: 이이(李珥)생몰: 1536년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국적: 조선직업: 성리학자, 정치가, 문신한 줄 요약: 9번의 과거에 모두 장원급제하며 이기일원론을 정립하고, 《동호문답》과 《성학집요》로 조선의 왕도정치를 설계한 실천적 학자"뜻을 세우고 명확히 알며 독실하게 행하라. 뜻이 서지 않으면 만사가 성공하지 못한다."- 율곡 이이신사임당의 아들, 타고난 신동의 시절1536년 겨울, 강릉 오죽헌에서 한 아이가 태어났습니다. 어머니 신사임당이 흑룡이 하늘로 오르는 꿈을 꾸고 잉태했다 하여 '현룡'이라 불렸던 이 아이가 바로 이이였습니다. 조선시대 최고의 재녀로 불리던 신사임당의 교육을 받으며 자란 율곡은 어릴 때부터 남다른 재능을 보였습니다. 8세에 파주 화석정에 올라 시를 지을.. 2025. 8. 18. 성리학의 완성자이자 조선 최고의 학자, 퇴계 이황의 삶과 철학 기본 정보이름: 이황(李滉), 자 경호(景浩), 호 퇴계(退溪)생몰: 1501년 12월 25일 ~ 1570년 12월 8일국적: 조선직업: 성리학자, 교육자, 관료한 줄 요약: 조선 성리학을 체계화하고 완성시킨 동방의 공자, 인격과 학문을 겸비한 조선 최고의 지성산골 서당에서 피어난 학문의 꿈1501년 경상도 예안현, 지금의 안동 도산면 온혜리의 한적한 산골 마을에서 퇴계 이황이 태어났습니다. 아버지 이식은 진사 출신이었지만 일찍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 박씨의 손에서 자란 그는 어려서부터 남다른 총명함을 보였습니다. 일곱 살 때 아버지를 잃은 슬픔 속에서도 그는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습니다.열두 살 무렵, 그는 『논어』를 읽다가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라는 구절을 만났습니다. '배우고 .. 2025. 8. 17. 예술혼과 모성애로 조선을 빛낸 율곡이이의 어머니 "신사임당" 기본 정보이름: 신사임당 (申師任堂, 본명: 신인선)생몰: 1504년 10월 29일 ~ 1551년 5월 17일국적: 조선직업: 화가, 서예가, 문학가, 교육자한 줄 요약: 뛰어난 예술적 재능과 완벽한 모성으로 조선시대 여성의 이상적 모델이 된 예술가이자 율곡 이이의 어머니강릉 바닷가에서 피어난 예술혼1504년 강원도 강릉부 북평촌에서 태어난 신사임당은 어려서부터 남다른 예술적 감수성을 보였습니다. 그녀의 아버지 신명화는 진사 출신의 선비였지만, 당시 여성에게는 좀처럼 허락되지 않던 학문과 예술 교육을 딸에게 아낌없이 베풀었습니다. 어린 사임당이 마당에 핀 꽃을 보고 즉석에서 그려낸 그림을 본 아버지는 그녀의 재능을 단번에 알아보았다고 전해집니다. 동해의 푸른 바다와 설악산의 웅장한 자연 속에서 자란 그녀.. 2025. 8. 16.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