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0 귀주대첩의 전설을 이룬 고구려의 수호신, "강감찬 장군" 기본 정보이름: 강감찬(姜邯贊)생몰: 948년 ~ 1031년국적: 고려직업: 문신, 무장, 정치가한 줄 요약: 귀주대첩에서 40만 거란군을 전멸시키며 고려를 구한 불멸의 영웅별이 떨어진 밤, 한 영웅의 탄생948년 고려 정종 3년, 지금의 서울 관악구 낙성대에 한 아이가 태어났습니다. 그날 밤 하늘에서 큰 별이 떨어졌다고 전해지는데, 그 별빛이 바로 훗날 고려를 구할 영웅 강감찬의 첫 신호탄이었습니다. 그의 출생지 이름도 '별이 떨어진 곳'이라는 뜻의 '낙성대(落星垈)'로 불리게 되었죠. 아버지 강궁진은 황해도 지역의 호족 출신으로, 고려 건국 초기의 혼란한 시대를 살아가던 중간 계층의 인물이었습니다. 어린 강감찬은 키가 작고 얼굴이 보잘것없어 사람들이 우습게 여겼지만, 그의 눈빛에는 예사롭지 않은 기운.. 2025. 8. 3. 세 치 혀로 강동6주를 되찾은 외교전략가 "서희" 기본 정보이름: 서희(徐熙)생몰: 942년 ~ 998년 7월 14일국적: 고려직업: 문신, 외교관, 정치가한 줄 요약: 거란의 80만 대군을 말로 물리치고 강동6주를 획득하여 고려의 영토를 압록강까지 확장시킨 역사상 최고의 외교 전략가호족의 품격이 빚어낸 미래의 거장942년, 고려가 막 건국의 기반을 다지던 시기 경기도 이천의 효양산 기슭에서 한 아이가 태어났습니다. 그의 이름은 서희, 훗날 거란의 대군을 말 한마디로 물리치며 고려 외교사에 전설을 남길 인물이었죠.그의 집안은 결코 평범하지 않았습니다. 할아버지 서신일은 신라 말기의 혼란을 예견하고 벼슬을 버린 채 은거한 현자였고, 아버지 서필은 고려 광종 때 내의령이라는 최고직에 오른 대쪽 같은 재상이었습니다. 특히 아버지 서필에게는 재미있는 전설이 내.. 2025. 8. 2. 노비해방과 과거제로 왕권을 세운 개혁 군주, "광종" 기본 정보이름: 왕소(王昭), 광종(光宗)생몰: 925년 ~ 975년국적: 고려직업: 고려 4대 국왕, 개혁 군주한 줄 요약: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로 고려의 기틀을 완성한 '제2의 창업 군주'태조의 아들, 혼란 속에서 태어나다925년, 고려 태조 왕건의 넷째 아들로 태어난 왕소는 처음부터 왕좌가 약속된 삶을 살지 않았습니다. 아버지 왕건이 후삼국 통일을 위해 29명의 부인을 두어 25명의 아들을 낳은 상황에서, 그는 수많은 형제들 중 하나에 불과했죠. 하지만 그의 내면에는 남다른 야심과 침착함이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태조로부터 뛰어난 용모와 자질을 인정받았던 왕소는 이미 청년 시절부터 왕실의 핵심 인물로 주목받았고, 형 정종과 함께 서경 세력과의 연대를 통해 정치적 기반을 다져나갔습니다. 그는 일찍부터 권.. 2025. 8. 1. 분열의 시대를 끝낸 통일의 꿈 - 고려 "태조 왕건" 기본 정보이름: 왕건(王建)생몰: 877년 ~ 943년 7월 4일국적: 고려직업: 고려의 초대 왕, 통일군주한 줄 요약: 후삼국 시대의 혼란을 종식하고 한반도를 통일한 고려 왕조의 건국자송악의 상인 집안에서 피어난 영웅의 꿈877년, 지금의 개성인 송악에서 태어난 왕건은 처음부터 왕의 운명을 타고난 인물은 아니었습니다. 그의 아버지 왕융은 지역의 유력한 상인이자 호족이었지만, 당시는 신라 말기의 혼란한 시대였습니다. 어린 왕건이 자란 송악은 한반도의 중심부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로, 각지에서 온 상인들과 여행자들이 끊임없이 드나드는 활기찬 도시였습니다. 이곳에서 자란 왕건은 자연스럽게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며 넓은 안목을 기를 수 있었고, 상업을 통해 쌓인 부와 인맥은 훗날 그의 정치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 2025. 7. 31. 계원필경으로 동아시아를 감동시킨 신라의 문장가, "최치원" 기본 정보이름: 최치원(崔致遠)생몰: 857년 ~ 908년 이후국적: 신라직업: 학자, 문인, 관료한 줄 요약: 동아시아 최초로 중국 문단의 인정을 받은 신라의 문장가이자, 한국 한문학의 아버지12세에 당나라로 떠난 어린 유학생857년 신라 경주에서 태어난 최치원은 어려서부터 남다른 재능을 보였습니다. 12세라는 어린 나이에 당나라 유학길에 오른 그의 모습을 상상해보세요. 부모와 고향을 떠나 머나먼 이국땅으로 향하는 소년의 마음 속에는 어떤 각오가 담겨 있었을까요? 그는 "10년 안에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면 부처의 제자가 되겠다"는 다짐을 품고 당나라로 떠났습니다. 이 결연한 의지는 그의 전 생애를 관통하는 불굴의 정신력의 출발점이었습니다.당시 신라 청년들에게 당나라 유학은 출세의 지름길이자 동시에 험난.. 2025. 7. 30. 동아시아 바다를 호령한 해상왕의 꿈과 야망, "장보고" 이름: 장보고(張保皐)생몰: 790년경 ~ 841년국적: 신라직업: 군인, 해상 세력가, 무역상한 줄 요약: 청해진을 설치하여 동아시아 해상무역을 장악하고 해상실크로드를 완성한 9세기 최고의 해상왕바다가 부른 아이, 궁복의 탄생9세기 초 완도 어딘가의 가난한 평민 가정에서 태어난 한 아이가 있었습니다. 그의 본명은 '궁복(弓福)' 또는 '궁파(弓巴)'로, 우리말로는 '활보', 즉 활을 잘 쏘는 사람이라는 뜻이었습니다. 기골이 장대하며 어린 시절부터 활과 창을 잘 다루는 무인의 기질을 보였던 그는, 바닷가에서 나고 자란 아이답게 물과 친숙했고 바다의 거친 파도 소리를 들으며 성장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아무리 뛰어난 재능을 가졌다 한들, 골품제라는 혈연에 바탕을 둔 신분제 사회에서 귀족이 아니면 중요한 요직.. 2025. 7. 29. 이전 1 2 3 4 5 다음